지방사와 공동체 아카이브
수강료150000원

1. 강의 데모
2. 개요
이 강좌는 한국 지방사 연구와 공동체 아카이브의 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. 왜냐하면 한국 지방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동체 아카이브의 구축이 필수적이기 문이다. 이를 위하여 이 강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. 첫 번째 부분에서는 지방지를 포한하여 한국 지방사 연구의 지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. 두 번째 부분에서는 지방사 자료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 지방사 자료 수집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. 마지막 부분에서는 수집된 지방사 자료들을 어떻게 공동체 아카이브로 만들 것인가를 논의할 것이다.
3. 교재
- 윤택림, 2013, 『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』(수정판), 아르케.
- 윤택림, 2019, 『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연구방법론』, 아르케.
4. 강의 수 : 15강
섹션 13강 지방사와 공동체 아카이브
강의 1지방사란
강의 2지방사와 지방지
강의 3새로운 지방지와 구술사
강의 4지방사 연구 이론
강의 5지역성(지방성, locality)이란?
강의 6지방사와 지방기록물관리
강의 7지방사 자료의 수집 I: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적 자료 수집
강의 8지방사 자료의 수집 II: 구술 자료 수집
강의 9지방사 자료 정리 I
강의 10지방사 자료 정리 II
강의 11공동체 아카이브란
강의 12공동체 아카이브 구축 I
강의 13공동체 아카이브 구축 II
강의 14공동체 아카이브의 활용
강의 15공동체 아카이브 운동